네트워크,IT

서브넷 마스크란? 완벽 이해 가이드

토미더머니 2025. 8. 13. 08:47
반응형

📌 서브넷 마스크란? 완벽 이해 가이드


🌐 서브넷 마스크의 기본 개념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32비트 숫자입니다.
IPv4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각 비트가 1이면 네트워크 영역, 0이면 호스트 영역을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IP 주소가 어느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그리고 그 네트워크에서 어떤 기기인지 식별하는 ‘마스크’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IP 주소가 192.168.1.10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이라면:

  • 네트워크 부분: 192.168.1
  • 호스트 부분: .10

🔍 왜 서브넷 마스크가 필요한가?
서브넷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수입니다.

  • 네트워크 구분: IP 주소만으로는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인지, 호스트인지 알 수 없습니다.
  • IP 관리 효율성: 네트워크를 세분화하여 IP 주소 낭비를 막습니다.
  • 보안성 강화: 특정 서브넷에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트래픽 관리: 네트워크를 분리하면 브로드캐스트 범위를 줄여 성능 향상에 도움됩니다.

🖥 서브넷 마스크의 표현 방식

  1. 점 표기법(Dotted Decimal Notation)
    • 예: 255.255.255.0
    • 각 8비트를 10진수로 변환하여 점(.)으로 구분
  2. CIDR 표기법(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예: 192.168.1.10/24
    • /24는 네트워크 비트 수를 의미(앞에서부터 1인 비트의 개수)

📊 서브넷 마스크와 클래스
과거 IPv4는 A, B, C 클래스로 나누어 서브넷 마스크를 고정적으로 사용했습니다.

  • 클래스 A: 255.0.0.0 (/8)
  • 클래스 B: 255.255.0.0 (/16)
  • 클래스 C: 255.255.255.0 (/24)
    현재는 CIDR 방식으로 유연하게 나눕니다.

🛠 서브넷 마스크 계산 예시
예) 192.168.10.15/26

  • /26은 네트워크 비트가 26개, 호스트 비트가 6개라는 뜻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192
  • 네트워크 주소: 192.168.10.0
  • 브로드캐스트 주소: 192.168.10.63
  • 사용 가능한 호스트: 192.168.10.1 ~ 192.168.10.62

🔒 보안과 서브넷팅의 관계
서브넷 마스크를 활용하면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아도 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내부에서 부서별로 다른 서브넷을 설정하면, 서로 다른 부서가 접근할 수 없도록 제한 가능합니다. 이는 보안 정책 수립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 서브넷 마스크의 장점 요약

  • 네트워크 자원 효율적 사용
  • 보안성 강화
  • 트래픽 최소화
  • 관리 편의성 향상

💡 정리
서브넷 마스크는 단순히 ‘네트워크 구분자’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효율적인 IP 주소 관리와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IPv4 주소 고갈 문제가 심화된 지금, 서브넷 마스크와 CIDR 개념은 네트워크 엔지니어뿐 아니라 IT 담당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필수 지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