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

환율은 어떻게 정해질끼

토미더머니 2025. 6. 23. 12:3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환율이란 다른 나라 돈과 우리나라 돈의 교환 비율이에요.
예를 들어, 1달러가 1,300원이다라는 말은,
달러 1개를 사려면 1,300원이 필요하다는 뜻이죠.

그런데 이 환율은 매일, 아니 순간순간 바뀌기도 해요.
그렇다면 이런 환율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이번엔 환율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그 영향을 쉽게 풀어볼게요.


💱 환율이란?

환율은 영어로 Exchange Rate,
즉, 나라와 나라 사이의 통화 교환 비율이에요.

  • 1달러 = 1,300원
  • 1유로 = 1,450원
  • 100엔 = 900원

이처럼 외국 돈과 우리 돈이 서로 얼마의 가치로 맞바뀌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죠.
외환시장에서 이 환율은 계속 움직이고 있어요.
 


🔄 환율은 어떻게 정해질까?

환율을 정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 1. 시장 환율 (자유 변동 환율제)

  • 현재 대부분의 나라는 이 방식을 사용해요.
  • 환율은 외환시장이라는 곳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실시간으로 바뀝니다.
  • 마치 주식처럼, 달러를 사고파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가격이 오르고,
  • 팔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가격이 떨어지죠.

예시:

  • 한국 기업이 미국에서 원자재를 사오려면 달러가 필요하죠.
  • 수입이 많아질수록 달러 수요가 늘고 → 환율 상승
  • 반대로 한국의 수출이 잘되면, 외국 기업들이 원화를 사야 하니까
    원화 수요 증가 → 환율 하락

🔵 2. 고정 환율제

  • 환율을 정부가 일정하게 정해서 유지하는 방식이에요.
  • 옛날에는 이 방식이 많았지만, 지금은 일부 국가만 씁니다.
  • 예: 중국은 위안화 환율을 일정 범위 안에서 조절해요.

📊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시장 환율은 다양한 경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요. 대표적인 걸 살펴볼게요.

📈 1. 금리 차이

  • 미국 금리가 오르면, 달러에 투자하려는 자금이 몰려요.
  • 달러 수요가 늘면 → 달러 강세 → 원/달러 환율 상승

📉 2. 경상수지

  • 수출이 많고 수입이 적으면 외국에서 원화를 많이 사요.
  • 원화 수요 증가 → 환율 하락

💰 3. 외국인 투자

  • 외국인이 한국 주식·부동산을 사면 원화가 필요하죠.
  • 원화 수요 증가 → 환율 하락
  • 반대로 외국인이 한국에서 돈을 빼가면 → 환율 상승

🌍 4. 정치·경제 불안

  • 전쟁, 금융위기, 정치 혼란 같은 이슈가 생기면
  • 안전자산인 달러로 자금이 몰려요 → 환율 상승

🏦 5. 중앙은행의 개입

  • 한국은행 같은 중앙은행이 직접 외환시장에 들어와서
  • 달러를 사고팔며 환율을 조절할 때도 있어요.
  • 이를 시장 개입이라고 합니다.

📉 환율이 오르면 어떤 일이 생길까?

🙁 수입기업에는 나쁨

  • 해외에서 물건을 사올 때 달러로 결제하니까
  • 환율이 오르면 같은 물건도 더 비싸짐

😀 수출기업에는 유리

  • 외국에서 한국 물건을 살 때 원화가 싸면 더 경쟁력 있음

🛢️ 원자재·에너지 값 상승

  • 석유, 밀, 천연가스는 대부분 달러로 거래돼요.
  • 환율이 오르면 원자재 수입비용도 오릅니다.

📉 소비자 물가에 영향

  • 수입물가 상승 → 제품 가격 상승 →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 환율이 내리면 어떤 일이 생길까?

😀 여행이나 해외직구에 유리

  • 원화 가치가 올라가니까 같은 달러로 더 많이 살 수 있음

🙁 수출업체에는 불리

  • 외국인 입장에서 한국 물건이 비싸져서 수출이 줄 수도

📦 수입업체는 유리

  • 해외에서 물건을 싸게 들여올 수 있음

🧾 요약 정리

  • 환율은 외국 돈과 우리 돈의 교환 비율이에요.
  • 대부분의 국가는 시장에 따라 환율이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자유 변동 환율제를 사용해요.
  • 환율은 금리, 무역수지, 투자 흐름, 경제 상황에 따라 움직여요.
  • 환율이 오르면 수입비용 증가, 수출 경쟁력 향상,
  • 내리면 해외소비에 유리, 수출엔 불리하죠.

뉴스에서 "원/달러 환율이 급등했다"거나
"한국은행이 시장에 개입했다"는 이야기가 나올 때,
이제는 그 이유와 의미를 조금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