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IT

DNS란 무엇일까?

토미더머니 2025. 8. 13. 08:58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 DNS란 무엇일까?

인터넷 세상에서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이메일을 보낼 때마다 꼭 필요한 것이 바로 DNS입니다.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을 하며,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
이 글에서는 DNS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관련 기술과 보안 문제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DNS란?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 이름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컴퓨터끼리 소통하려면 숫자로 된 주소, 즉 IP 주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사람은 숫자보다 ‘google.com’ 같은 문자 주소를 외우고 사용하기가 훨씬 쉽죠.
그래서 DNS가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서로 연결해주는 ‘주소 변환 서비스’를 담당합니다.


🛠️ DNS의 주요 기능과 계층 구조

DNS의 주요 기능은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이름 해석(Name Resolution),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메인 네임 관리입니다.

DNS는 계층적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도메인 이름은 여러 부분으로 나뉘는데, 예를 들어 ‘www.example.com’에서 ‘com’은 최상위 도메인, ‘example’은 2차 도메인, ‘www’는 서브도메인입니다.

  • 루트 DNS 서버 (Root DNS Server)
    가장 최상위에 있는 DNS 서버로, 최상위 도메인 서버 위치를 알려줍니다.
  • 최상위 도메인(TLD) 서버
    com, net, org 같은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입니다.
  • 권한 있는 네임서버(Authoritative Name Server)
    실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입니다.

🕵️‍♂️ DNS 작동 과정과 캐싱

DNS가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 주소 입력
  2. 로컬 DNS 캐시 확인
  3. ISP DNS 서버에 요청
  4. ISP DNS 서버가 루트 서버에 질의
  5. 최상위 도메인 서버에 질의
  6. 권한 있는 서버에 질의
  7. IP 주소를 사용자에게 반환

또한, DNS 요청은 여러 단계를 거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 번 조회한 DNS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캐시에 저장됩니다.
이를 DNS 캐싱이라고 하며, 다시 같은 주소를 방문할 때 빠르게 접속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캐싱 기간은 TTL(Time To Live)이라는 값으로 지정됩니다.


🔒 DNS 보안 문제와 최신 기술

DNS는 인터넷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보안 위협도 많습니다.

  • DNS 스푸핑(DNS Spoofing)
    악의적인 공격자가 잘못된 IP 주소를 DNS 응답에 삽입해 사용자를 가짜 사이트로 유도합니다.
  • DNS 증폭 공격(DNS Amplification Attack)
    DNS 서버를 악용해 대량의 트래픽을 목표에 보내 서비스 거부(DoS) 공격을 하는 기법입니다.

이런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보안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 DNSSEC(DNS Security Extensions)
    DNS 응답의 무결성을 검증해 스푸핑을 방지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DNS over HTTPS (DoH) / DNS over TLS (DoT)
    DNS 요청을 암호화해 중간에서 도청이나 변조를 막습니다.

또한, Anycast DNS 같은 기술로 전 세계 여러 위치에 DNS 서버를 분산하여 응답 속도를 높이고 장애를 줄이고 있습니다.


🌍 도메인 네임 등록과 다양한 DNS 레코드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려면 도메인 등록기관(Registrar)에 등록해야 하며,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서 IP 주소와 연결됩니다.
도메인 네임은 일정 기간마다 갱신해야 하며, 만료 시 다른 사람이 등록할 수 있습니다.

DNS는 도메인과 IP 주소 이외에도 여러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주요 DNS 레코드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 A 레코드 :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v4 주소
  • AAAA 레코드 :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v6 주소
  • CNAME 레코드 : 별칭 도메인을 실제 도메인으로 연결
  • MX 레코드 : 이메일 수신 서버 지정
  • TXT 레코드 : 도메인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 이메일 인증에 사용
  • NS 레코드 : 권한 있는 네임서버 지정

📱 DNS 클라이언트와 서버, 그리고 인터넷 서비스

  • DNS 클라이언트 : PC, 스마트폰, 서버 등 DNS 질의를 보내는 장치
  • DNS 서버 : 질의를 받고 응답하는 서버 (캐시 서버, 권한 있는 서버, 루트 서버 등)

DNS는 웹 브라우징뿐 아니라 이메일 송수신, FTP, VoIP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에 필수적입니다.
이메일 송수신 시 MX 레코드를 통해 수신 서버 IP를 확인합니다.


🚀 DNS 문제 해결과 요약

DNS 관련 문제로 웹사이트 접속이 안 될 때는 다음을 점검해보세요.

  • 인터넷 연결 상태 확인
  • DNS 캐시 삭제 (예: ipconfig /flushdns)
  • 다른 DNS 서버 사용 (예: 구글 DNS 8.8.8.8)
  • 도메인 이름 정확도 확인
  • 방화벽 설정 점검

요약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핵심 시스템이며, 분산 구조와 다양한 보안 기술로 인터넷 서비스의 기반을 담당합니다.
DNS 캐시와 보안 기술 덕분에 빠르고 안전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합니다.

 

반응형